지난 시간 주가수익비율 PER에 대해 알아보았다. (링크 http://sopho.tistory.com/6)
PER을 기준으로 저평가된 종목을 찾아 시장을 기웃거린 경험이 있거나, 저평가된 종목이라고 생각해 저PER 종목을 보유해본 투자자라면 누구나 다음과 같은 고민을 해봤을 것이다.
'내가 산 PER4 짜리 한국전력은 곤두박칠 치는데 저 이름도 듣도 보도 못한 제약주는 PER가 40인데 훨훨 날아가네. PER가 진짜 투자지표 맞나...'
지난 번에 PER를 다룬 포스트에서 언급했지만, 고PER와 저PER에는 다 이유가 있는 법이다.
가치투자의 관점에서 이는 모두 '실적' 때문인데,
일단 실제로 PER가 4도 안되는 한국전력과 피부미용이나 주식투자에 관심이 없다면
듣도 보도 못했을 기업인데 PER 40에 육박하는, '휴젤'의 예를 보자.
누가봐도 분명히 저PER 종목인 한국전력을 매수했다고 가정하자. 차트는 볼 것도 없다. 한국전력은 하락세다.
반면에 상대적으로 고PER 종목인 휴젤은 PER이 40에 육박하는데도 상향세를 그리고 있다. (2017년에 100% 올랐다.)
한국전력의 보유자는 '아니 분명히 PER이 낮으면 저평가라고 했는데...' 라며 주가수익비율이라는 지표를 가르쳐준 이를 원망할지도 모른다.
정말 PER가 낮으면 저평가된 종목이고 반대로 높으면 고평가된 종목일까?
시장에서 발생한 모든 의문에 대한 가치투자자의 답은 '실적'에 있다.
모든 것을 배제하고 '실적', 개중에서도 순이익만 보자.
한국전력의 실적을 보라. 들쭉날쭉이다.
정부에서는 '전기료를 인하한다. 신재생에너지 분야를 육성하겠다.'고 공언하는 상황이다.
한국전력의 실적전망은 당분간은 밝지 않을 전망이고 올해 순익 역시 감소할 전망이다.
예정대로 올해 한국전력이 4조의 순익을 거둔다면, PER은 약 6.58. 현재 PER의 1.8배다.
내년에도, 내후년에도 순익이 조금씩 감소되면 어떨까.
과장 조금 섞으면 언젠가 20에 달하는 PER을 볼지도 모른다.
(물론 그 전에 주가가 먼저 떨어지겠지만...)
그럼 휴젤을 보자. 휴젤은 보톡스의 원료인 보톨리눔 톡신을 제조하는 회사다.
최근 사모펀드 베인캐피털에 1조 가량에 인수되면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다 중요하지만 결국 가치투자의 핵심은 실적이다.
휴젤은 2014년 대비 2016년에 3배에 달하는 순익을 올렸다.
성장성을 증명했으니 당연히 주가는 그 이상 뛰었다. (휴젤은 2015년 12월 공모가 15만원에 상장됐다.)
휴젤의 올해 예상 순익은 781억. 전년 대비 약 1.8배다. 예상 PER는 27이다.
40을 넘는 지금의 주가수익비율이 이해가 될 듯 하면서도 여전히 비싸다.
대체 휴젤은 싼건가 비싼건가?
시장에서도 이와 같은 고민을 안했을리 없다.
성장하는 기업과 정체되어 있는 기업을 이익이라는 잣대로 저울질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
업종 평균 PER이라는 것도 어떤 업종이 얼마나 성장할지 알 수 없는 것이기에 뜬구름에 지나지 않는다.
'무한한 부가가치를 지닌 첨단산업주의 적정 주가를 어떻게 평가할 것이냐.'
이에 대한 답으로 시장은 주가성장성비율, PEG(Price Earning Growth)를 내놓았다.
PEG를 구하는 식은 간단하다.
PEG = PER / 이익성장률
휴젤의 PEG는 몇이나 되는가?
휴젤의 현재 PER 42를 3년 동안의 평균 성장률인 80%로 나누면 약 0.5다.
그래서 PEG 0.5는 높은거냐 낮은거냐?
PEG는 1은 기준으로 1보다 높으면 고평가, 낮으면 저평가로 본다.
이해하기 쉬운 예로 PER가 100인 종목이 있다. 이 기업이 1년에 두배씩 성장한다고 가정하자.
주가가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내년에는 PER 50, 후년에는 PER 25, 3년 뒤에는 PER 12.5가 된다.
4년 뒤에는? 6.25가 된다. 이 경우 PEG는 0.5다.
계속 100%씩 성장할 수 있다는 가정 아래 PEG 0.5, PER 100짜리 종목은 거저다.
그렇다면 지금 주가수익비율 40인 휴젤의 주가는 주가수익비율 3.75인 한국전력에 비해 싼가, 비싼가?
휴젤의 보톡스 사업은 지금처럼 연 80%의 기세로 성장할 수 있을까?
'기본적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가수익비율 PER (0) | 2017.09.02 |
---|